Re: nontransformer ups의 신뢰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61.♡.208.242) 작성일17-02-07 10:23 조회4,09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
> 트랜스가 없는 UPS의 신뢰성이나 내구성은 어떤가요?
> 이전에 사용하던 트랜스 있는 UPS를 제거하고 최신 모델의 트랜스 없는 제품으로 구입하려는데 차이나 신뢰성등은
>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전기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UPS이고 각 층마다 분점함으로 분기되어서 사용되는 UPS입니다.
>
> 컴퓨터 뿐만 아니라 일반 계측기(병원), 기계설비, 조명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기입니다.
>
> non 트랜스 UPS가 크기가 훨씬작고 효율도 좋고, 네트워크 지원도 잘 되는데 병원 중요설비의 UPS로 사용해도 좋은가요?
>
> 이전 UPS는 50kw입니다.
>
>
안녕하세요...
트랜스가 없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두가지 회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직류(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는 회로로 구성하고 인버터를 통해서 교류를 출력하는 회로와,
직류(배터리)전압으로 출력 교류를 직접 만들수 있도록 배터리 전압을 높게 구성하는 방법(총 DC700V이상)의 회로구성입니다.
직류 승압형 제품은 소용량 20KVA 이하에서 주로 구성되며, 그이상 중대용량은 직류전압(배터리)를 높혀서 구성합니다. 12V battery 기준 약 32Cell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측교류와 -측교류가 약 160VDC이상되어야 함.)
최근에는 역률을 보상하기 위해 입력파형의 역률 보상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제품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위의 역률 보상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제품은 입력 전원파형에 실시간 대응하도록 회로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공장내부에 위상제어하는 기기가 많이 설치되어 있거나 (레이져 가공설비, 고압생성 설비등) 구형 발전설비를 가동하는곳에서는 위와같은 nontransformer의 UPS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서버등의 파워에서는 소음이 나지 않지만 위의 공장등 산업현장에서 사용할때 웅~~하는 소음이 심하게 나는 경우에는 UPS를 일반 트랜스 내장된 제품과 역률 보상회로가 없는 일반적인 제품의 UPS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위와 같은 서버등의 파워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종류의 설비를 사용할때는 입출력 트랜스를 내장하거나 사용된 UPS를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입력 역률이나 왜율이 심한공장에서 역률 보상되는 제품의 UPS를 사용한다면 내부에서는 역률 보상하기 위해 승압하는 회로가 실시간 동작해서 내부 직류 전압값을 수직 상승시키는 회로가 동작하여 UPS내부및 부하측의 사고의 위험이 큽니다.
또한 위의 제품은 내부 배터리와 출력 뉴트랄과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입력과 배터리,출력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의 조립이나 사용시에 절연상태도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특히 국내 일부업체에서는 배터리를 무보수 밀페형(RP type, LM type, Hi-Ca)을 사용하는경우도 있는데 사용중 누액이나 절연상태가 불량하면 UPS가 손상을 입거나 입출력 연결 설비의 고장 발생 원인이 됩니다.
Non Transformer의 UPS는 서버실의 전원이나 콤퓨터등의 전원등에서 사용하는것이 좋고 생산설비나 생산전원, 공장전원, 병원 설비등에는 가급적 transformer를 사용하여 입출력 절연되는 UPS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중요한 내용이라서 쉽게 설명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 트랜스가 없는 UPS의 신뢰성이나 내구성은 어떤가요?
> 이전에 사용하던 트랜스 있는 UPS를 제거하고 최신 모델의 트랜스 없는 제품으로 구입하려는데 차이나 신뢰성등은
>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전기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UPS이고 각 층마다 분점함으로 분기되어서 사용되는 UPS입니다.
>
> 컴퓨터 뿐만 아니라 일반 계측기(병원), 기계설비, 조명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기입니다.
>
> non 트랜스 UPS가 크기가 훨씬작고 효율도 좋고, 네트워크 지원도 잘 되는데 병원 중요설비의 UPS로 사용해도 좋은가요?
>
> 이전 UPS는 50kw입니다.
>
>
안녕하세요...
트랜스가 없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두가지 회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직류(배터리)의 전압을 승압하는 회로로 구성하고 인버터를 통해서 교류를 출력하는 회로와,
직류(배터리)전압으로 출력 교류를 직접 만들수 있도록 배터리 전압을 높게 구성하는 방법(총 DC700V이상)의 회로구성입니다.
직류 승압형 제품은 소용량 20KVA 이하에서 주로 구성되며, 그이상 중대용량은 직류전압(배터리)를 높혀서 구성합니다. 12V battery 기준 약 32Cell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측교류와 -측교류가 약 160VDC이상되어야 함.)
최근에는 역률을 보상하기 위해 입력파형의 역률 보상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제품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위의 역률 보상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제품은 입력 전원파형에 실시간 대응하도록 회로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공장내부에 위상제어하는 기기가 많이 설치되어 있거나 (레이져 가공설비, 고압생성 설비등) 구형 발전설비를 가동하는곳에서는 위와같은 nontransformer의 UPS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서버등의 파워에서는 소음이 나지 않지만 위의 공장등 산업현장에서 사용할때 웅~~하는 소음이 심하게 나는 경우에는 UPS를 일반 트랜스 내장된 제품과 역률 보상회로가 없는 일반적인 제품의 UPS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위와 같은 서버등의 파워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종류의 설비를 사용할때는 입출력 트랜스를 내장하거나 사용된 UPS를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입력 역률이나 왜율이 심한공장에서 역률 보상되는 제품의 UPS를 사용한다면 내부에서는 역률 보상하기 위해 승압하는 회로가 실시간 동작해서 내부 직류 전압값을 수직 상승시키는 회로가 동작하여 UPS내부및 부하측의 사고의 위험이 큽니다.
또한 위의 제품은 내부 배터리와 출력 뉴트랄과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입력과 배터리,출력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의 조립이나 사용시에 절연상태도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특히 국내 일부업체에서는 배터리를 무보수 밀페형(RP type, LM type, Hi-Ca)을 사용하는경우도 있는데 사용중 누액이나 절연상태가 불량하면 UPS가 손상을 입거나 입출력 연결 설비의 고장 발생 원인이 됩니다.
Non Transformer의 UPS는 서버실의 전원이나 콤퓨터등의 전원등에서 사용하는것이 좋고 생산설비나 생산전원, 공장전원, 병원 설비등에는 가급적 transformer를 사용하여 입출력 절연되는 UPS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중요한 내용이라서 쉽게 설명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