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APC rack ATS 문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61.♡.208.242) 작성일17-10-13 11:08 조회2,17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최영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수고 많으십니다.
> 표제의 건 관련하여 16A제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기술 문의 드릴사항이 몇가지 있어 송부드리오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 1. 입력전원 2개소 관련하여 같은 위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가요?
> : 예를들어 1개소에 R-N220V이면 다른 1개소도 동일한 R-N인지
--------------위상이 달라도 됩니다. 순수 반도체 절체보다는 릴레이 절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SMPS등의 파워가 리셋되지 않도록 절체시간이 짧습니다.
>
> 2. 무정전으로 절체하는것이라면 STS와 동일한 기능의 제품으로 봐도 될까요?
-------------- ATS(Automatic Transfer Switch(System) 자동절체 스위치이며 위에서 설명드린것처럼 릴레이 절체를 합니다
STS(Static Transfer Switch(System) 무순단(무정전)절체스위치이며 주로 반도체스위치(SCR)를 이용해서 거의 끊어짐 없이 절체하게 됩니다
>
> 3. STS와 동일하다면 1번사항의 두가지 전원이 동일하여야 할것 같은데
> 확인 부탁드립니다.
-------------- ATS는 두 전원의 위상이 안맞거나 허용되는 전압차이가 있어도 절체가 가능합니다. 인위적으로 두위상이 틀리면 절체시간을 늘여서 부하측이나 내부에 전기적 충격을 방지합니다
STS는 두 전원의 위상이 맞지 않거나 전압차이가 생기면 절체를 하지 않습니다.
>
> 4. 출력측은 입력측 전원중 선택되었거나 건전한 상태의 전원을
> 별도의 변환없이 바로 출력하는 구조인가요?
-------------- 네 별도의 변환없이 바로 입력되는 전원이 출력되는 구조입니다 .
>
> 5. 4번 질문은 내부에서 별도의 변환이 있을경우 고조파발생의 우려가 있을듯 하여
> 드리는 질문입니다.
-------------- 전혀 변환이 없고 입력되는 전원을 그대로 릴레이 접점을 통해서 출력되는 시스템입니다.
오히려 릴레이 방식이라서 STS보다는 에러발생률이 적습니다. 위상을 맞추지 않고 절체하기때문에 출력측 부하는 SMPS등 위상과 관련없는 파워에 적합합니다.
모터등 위상제어를 하는 제품인경우와 위상변환해서 사용되는 파워에는 적합한 절체시스템이 아닙니다.
좀더 기술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
PFC 회로나 위상제어를 하는 파워등에서는 위의 ATS의 절체시에 순간적인 파형의 끊어짐으로 인해 내부 회로에서 역률 보상회로의 기능을 할수가 있습니다.
파형의 순단상태를 파형의 찌그러짐으로 이상감지하여 PFC 내부회로에서 끊어짐만큼 인버팅을 해서 내부 전압(직류전압)를 승압하는 결과가 나올수 있습니다.
특히 이 ATS의 잦은 절체로 인해 출력 파형의 끊어짐이 자주발생하게 되고 내부 PFC회로에서 순단되는 순간마다 내부 역률보정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DC전압(SMPS 내부회로중)이 아상전압으로 승압되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이 경우(ATS 잦은 절체로 인한)에 저가형 SMPS나 중국산 SMPS등은 내부 DC CAPACITOR의 허용전압이 낮은경우가 많아서 이 캐패시터가 높은 전압발생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 파워를 껏다가 껴는중에 이런 파워서플라이가 고장이 빈번한 이유이기도 하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진행하실때나 테스트 하실 제품등이 있으시면 당사로 연락주시면 데모도 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 수고 많으십니다.
> 표제의 건 관련하여 16A제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기술 문의 드릴사항이 몇가지 있어 송부드리오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 1. 입력전원 2개소 관련하여 같은 위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가요?
> : 예를들어 1개소에 R-N220V이면 다른 1개소도 동일한 R-N인지
--------------위상이 달라도 됩니다. 순수 반도체 절체보다는 릴레이 절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SMPS등의 파워가 리셋되지 않도록 절체시간이 짧습니다.
>
> 2. 무정전으로 절체하는것이라면 STS와 동일한 기능의 제품으로 봐도 될까요?
-------------- ATS(Automatic Transfer Switch(System) 자동절체 스위치이며 위에서 설명드린것처럼 릴레이 절체를 합니다
STS(Static Transfer Switch(System) 무순단(무정전)절체스위치이며 주로 반도체스위치(SCR)를 이용해서 거의 끊어짐 없이 절체하게 됩니다
>
> 3. STS와 동일하다면 1번사항의 두가지 전원이 동일하여야 할것 같은데
> 확인 부탁드립니다.
-------------- ATS는 두 전원의 위상이 안맞거나 허용되는 전압차이가 있어도 절체가 가능합니다. 인위적으로 두위상이 틀리면 절체시간을 늘여서 부하측이나 내부에 전기적 충격을 방지합니다
STS는 두 전원의 위상이 맞지 않거나 전압차이가 생기면 절체를 하지 않습니다.
>
> 4. 출력측은 입력측 전원중 선택되었거나 건전한 상태의 전원을
> 별도의 변환없이 바로 출력하는 구조인가요?
-------------- 네 별도의 변환없이 바로 입력되는 전원이 출력되는 구조입니다 .
>
> 5. 4번 질문은 내부에서 별도의 변환이 있을경우 고조파발생의 우려가 있을듯 하여
> 드리는 질문입니다.
-------------- 전혀 변환이 없고 입력되는 전원을 그대로 릴레이 접점을 통해서 출력되는 시스템입니다.
오히려 릴레이 방식이라서 STS보다는 에러발생률이 적습니다. 위상을 맞추지 않고 절체하기때문에 출력측 부하는 SMPS등 위상과 관련없는 파워에 적합합니다.
모터등 위상제어를 하는 제품인경우와 위상변환해서 사용되는 파워에는 적합한 절체시스템이 아닙니다.
좀더 기술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
PFC 회로나 위상제어를 하는 파워등에서는 위의 ATS의 절체시에 순간적인 파형의 끊어짐으로 인해 내부 회로에서 역률 보상회로의 기능을 할수가 있습니다.
파형의 순단상태를 파형의 찌그러짐으로 이상감지하여 PFC 내부회로에서 끊어짐만큼 인버팅을 해서 내부 전압(직류전압)를 승압하는 결과가 나올수 있습니다.
특히 이 ATS의 잦은 절체로 인해 출력 파형의 끊어짐이 자주발생하게 되고 내부 PFC회로에서 순단되는 순간마다 내부 역률보정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DC전압(SMPS 내부회로중)이 아상전압으로 승압되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이 경우(ATS 잦은 절체로 인한)에 저가형 SMPS나 중국산 SMPS등은 내부 DC CAPACITOR의 허용전압이 낮은경우가 많아서 이 캐패시터가 높은 전압발생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 파워를 껏다가 껴는중에 이런 파워서플라이가 고장이 빈번한 이유이기도 하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진행하실때나 테스트 하실 제품등이 있으시면 당사로 연락주시면 데모도 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