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UPS 중성점 질문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61.♡.208.242) 작성일17-04-07 10:33 조회4,65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
> 제품 구매자는 아닙니다만..
> 인터넷에 UPS 관련 글을 검색하다 이사이트를 알게 된 후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 최근 궁금한게 생겼는데.. 알고 싶어서.. 질문 하게 되었습니다.
>
> 외산 UPS의 경우 축전지에서 중성선을 따오는 경우가 있던데 .(32셀 기준 16~17번 사이)
>
> 이렇게 축전지에서 중선선을.. 따와서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건지 알고싶습니다..
>
> .
>
>
안녕하세요...
전기쪽 관련 하시는분이라서 좀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국산 예전 모델인 경우에는 배터리 전압과 관련없이 최종 출력 인버터에 입출력 절연 트랜스를 사용하여 입력 정류전원과 배터리 전압과 관련없이 인버터 트랜스 2차전압을 권선비례에 의해 출력 전압을 만들게 됩니다.
절연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입출력 전기적 절연이 되어 안정적 이며 출력전압비에 의해 정확하고 다양한 전압을 만들어 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중량 문제와 함께 외형이 커지고 원가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국내에서의 전원 사용특성상 220VAC 기준 뉴트랄 선하고 hot 선하고 구분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220VAC의 동그란 코드를 반대로 꼽아도 사용될수 있어서 일반 가전 제품인 경우에는 구분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하지만 일반 서버등의 전원은 안정적인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뉴트랄과 핫라인을 구분해서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반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시그날 접지(S-G) 외함접지(F-G)등이 구분되어 전원설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구분이 없이 사용되게 되면 접지와 뉴트랄의 전압차이가 부하(서버전원)에 의해 전위차가 많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다시 서버의 전원구성상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줄수도 있습니다.(에러 발생이 빈번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전기적으로 절연된 인버터 트랜스를 사용하는 예전 국산 모델의 UPS에는 국내 이런 전원사정에도 에러발생률이 적으며 뉴트랄과 핫라인을 구분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 되는 경우가 없습니다.
국내 전원사용 특성상 전기적 문제 발생률이 적어지며 UPS 또한 사용상 부주의에 의한 고장발생률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배터리 32셀을 이용하는 외산 제품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일반적인 32셀을 이용하는 외산제품은 내부 인버터 트랜스가 없습니다. 입출력 3상4선식 380V가 표준 사양입니다.
출력전압 220V사인파를 생성하려면 최소한 DC 전압의 1.414....(루트2)만큼의 전원을 인가해야 반파의 정현파를 생성하게 됩니다.
DC 141V이상을 인가해야 사인파형 220VAC의 반파를 만들어 낼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성점을 기준으로 위로 160VDC아래로 160VDC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배터리 16셀씩 사용하게 됩니다.
교류전압의 피크치에 최대 펄스폭을 만들수 있는 전원과 효율등을 합하여 최소 약160VDC를 이용하게 됩니다.
지금까지는 단상기준으로 파형생성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삼상인 경우에는 중성점을 기준으로 입력정류부를 승압하여 각 상의 전원을 만들게 됩니다. 위의 기본원리를 이용해서 입력 중성점과 출력 중성점을 전위를 동일하게 하여 각 상의 전원을 중정점 기준으로 만들게 됩니다.
그래서 입력되는 전원과 특히 내부 DC 전원의 중성전원이 동일하기 때문에 현장설치나 사용상 특히 주의해야 하는것이 위의 배터리 전원과의 관계입니다.
현장에서 배터리의 누액이나 배터리의 단자등의 노출된 부위는 입력 전원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나머지는 상세한 자료나 기타 인버터 관련서를 찾아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 제품 구매자는 아닙니다만..
> 인터넷에 UPS 관련 글을 검색하다 이사이트를 알게 된 후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 최근 궁금한게 생겼는데.. 알고 싶어서.. 질문 하게 되었습니다.
>
> 외산 UPS의 경우 축전지에서 중성선을 따오는 경우가 있던데 .(32셀 기준 16~17번 사이)
>
> 이렇게 축전지에서 중선선을.. 따와서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건지 알고싶습니다..
>
> .
>
>
안녕하세요...
전기쪽 관련 하시는분이라서 좀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국산 예전 모델인 경우에는 배터리 전압과 관련없이 최종 출력 인버터에 입출력 절연 트랜스를 사용하여 입력 정류전원과 배터리 전압과 관련없이 인버터 트랜스 2차전압을 권선비례에 의해 출력 전압을 만들게 됩니다.
절연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입출력 전기적 절연이 되어 안정적 이며 출력전압비에 의해 정확하고 다양한 전압을 만들어 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중량 문제와 함께 외형이 커지고 원가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국내에서의 전원 사용특성상 220VAC 기준 뉴트랄 선하고 hot 선하고 구분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220VAC의 동그란 코드를 반대로 꼽아도 사용될수 있어서 일반 가전 제품인 경우에는 구분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하지만 일반 서버등의 전원은 안정적인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뉴트랄과 핫라인을 구분해서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반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시그날 접지(S-G) 외함접지(F-G)등이 구분되어 전원설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구분이 없이 사용되게 되면 접지와 뉴트랄의 전압차이가 부하(서버전원)에 의해 전위차가 많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다시 서버의 전원구성상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줄수도 있습니다.(에러 발생이 빈번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전기적으로 절연된 인버터 트랜스를 사용하는 예전 국산 모델의 UPS에는 국내 이런 전원사정에도 에러발생률이 적으며 뉴트랄과 핫라인을 구분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 되는 경우가 없습니다.
국내 전원사용 특성상 전기적 문제 발생률이 적어지며 UPS 또한 사용상 부주의에 의한 고장발생률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배터리 32셀을 이용하는 외산 제품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일반적인 32셀을 이용하는 외산제품은 내부 인버터 트랜스가 없습니다. 입출력 3상4선식 380V가 표준 사양입니다.
출력전압 220V사인파를 생성하려면 최소한 DC 전압의 1.414....(루트2)만큼의 전원을 인가해야 반파의 정현파를 생성하게 됩니다.
DC 141V이상을 인가해야 사인파형 220VAC의 반파를 만들어 낼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성점을 기준으로 위로 160VDC아래로 160VDC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배터리 16셀씩 사용하게 됩니다.
교류전압의 피크치에 최대 펄스폭을 만들수 있는 전원과 효율등을 합하여 최소 약160VDC를 이용하게 됩니다.
지금까지는 단상기준으로 파형생성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삼상인 경우에는 중성점을 기준으로 입력정류부를 승압하여 각 상의 전원을 만들게 됩니다. 위의 기본원리를 이용해서 입력 중성점과 출력 중성점을 전위를 동일하게 하여 각 상의 전원을 중정점 기준으로 만들게 됩니다.
그래서 입력되는 전원과 특히 내부 DC 전원의 중성전원이 동일하기 때문에 현장설치나 사용상 특히 주의해야 하는것이 위의 배터리 전원과의 관계입니다.
현장에서 배터리의 누액이나 배터리의 단자등의 노출된 부위는 입력 전원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나머지는 상세한 자료나 기타 인버터 관련서를 찾아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