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UPS가 설치된 설비의 파워가 자주 고장납니다. > 제품문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품문의

Re: UPS가 설치된 설비의 파워가 자주 고장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61.♡.208.242) 작성일17-07-14 17:21 조회3,263회 댓글0건

본문

>
 >
 > ups출력이 구형파인 소형 UPS를 당사 설비에 적용해서 사용했습니다.
>
> 설비에 부착해서 충분하게 시험해서 해외로 설비수출을 했는데  해외에서 설비세팅할때마다 설비의 콘트롤 판넬 파워가 자주 고장납니다.
> 파워회사에서도 이상없다고 하고 UPS 회사에서도 이상없다고 합니다.
> 전화통화내용대로 해외에서 세팅과정에서 전기가 자주 끊어지는 경우말고는 국내에서 세팅할때와 모든 환경이 같습니다.
> 무슨 이유에서 파워가 고장날까요?
 >
 >

안녕하세요..

전화상으로 많은 내용으로 대화하였습니다. 결과적인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내용은
UPS 출력이 구형파인 소형 UPS를 사용하였는데 국내에서 시험할때는 정전상태가 거의없는 상태에서 설비 파워에 연결해서 사용하였습니다만,
해외에서는 자주 정전이 되어 UPS의 기능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UPS는 일단 정전되면 내부 배터리통해서 출력에 구형파형을 발생합니다. 구형파는 제로크로싱에서의 주기가 넓은편입니다.  파형 상단과 하단 사이에 전압이 0V가 되는 구간이 넓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가져다 주신 고장난 SMPS의 파워를 분석한 결과는 내부 PFC 회로가 내장된 제품이었습니다.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SMPS도 확인해봤습니다만 내부 PFC회로가 동일하게 내장되어 있었습니다.

두개의 SMPS의 결정적 차이는 내부 평활용 캐패시터의 내압이 차이가 있었습니다  중국산 제품에는 350VDC용 캐패시터가 삽입되어 있었으며 잘 고장이 나지 않는다는 국산제품에는 400VDC의 캐패시터가 삽입되어 있었습니다.

분석결과 두개모두 일반 사인파형(정현파)인 일반전원에는 문제없이 잘 동작했으며 고장또한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UPS의 출력측에도 두개 모두 연결해서 테스트한 결과 전혀 문제 발생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UPS에 정전과 복전을 반복한 결과
SNMP의 PFC 회로가 동작하는 싯점이 구형파에서 전압이 제로 되는 구간이 넓다보니까 왜율로 간주해서 그 제로되는 구간만큼 두배의 전압을 생성(DC캐패시터측)에 공급을 하게 되는 확인를 했습니다.
SMPS의 입력측에서 구형파 특성관계로 제로전압구간만큼 역률 보상회로가 동작하여 내부 직류전압을 상승시키는 결과가 되어 캐패시터의 DC전압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두개의 SMPS 모두 DC전압이 약 390V~420VDC가 측정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350VDC 캐패시터를 적용한 제품에서는 계속적인 과전압으로 인해 캐패시터가 터져버리는 결과로 고장발생이 되었습니다. 

고장나지 않는 SMPS의 캐패시터도 계속적인 정전과 복전을 반복하면 DC 캐패시터의 발열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위의 분석결과가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었다고 할수있지만 다른 원인도 있을수 있습니다.

단지 UPS의 구형파형이 최근 PFC 적용된 파워서플라이에는 적합하지는 않습니다.
단 예전의 단순 캐패시터 인입형 SMPS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보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일반 IT용 설비등에서 전원을 껏다가 켰을때 파워서플라이가 가끔 고장나는경우도 위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일수도 있습니다.
PFC 적용 파워에서는 초기 전원을 껏다가 켰을때를 대비한 보호회로도 설계하는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EL. 050-2254-2254 FAX. 031-366-6488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안념길 150번길 46-13 ㈜유피에스코리아
이메일 : admin@upskorea.com

Copyright © UPSKOREA. All rights reserved.